안녕하세요~
룽과함께 입니다.
요즘 들어 경제뉴스나 신문기사를 보면 "매파"와 "비둘기파"라는 말이 엄청 자주 보이더라고요.
도통 무슨 말인지 모르겠고 새가 앞으로의 경제 흐름에 어떤 영향을 줄지 감을 잡기 위해
오늘도 같이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경제용어 매파, 비둘기파 의미
매와 비둘기의 이미지를 한번 상상해 보겠습니다.
매는 성격이 세고 강인한 느낌이 드는 반면 비둘기는 그에 비해 부드럽고 사람들이 다가와도 크게 반응하지 않습니다.
이렇듯 매파, 비둘기파라고 하는 것은 성향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흔히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이 쓰이곤 하는데
매파적인 사람이라고 하면 강경파,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이고
비둘기파라고 한다면 평화적이고 공존을 추구하는 성향의 집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를 경제적 관점에서 보면
매파는 기준금리를 인상하여 시중의 통화량을 줄여서 물가 안정을 도모하는(인플레이션을 잡는) 방향을 추구합니다.
비둘기파는 기준금리 인하를 통해 시중에 통화량을 늘려서 경기를 부양시키고자 하는 방향을 추구합니다.
2. 매파, 비둘기파의 장, 단점
위에서 매는 금리 인상, 비둘기는 금리 인하를 상징한다고 소개하였습니다.
그럼 두 성향이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그로 인한 어떤 장단점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매파입니다. 최근에 금리를 계속 올려야 된다는 매파적 뉴스가 많이 보이는데
금리가 오르게 되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와 예금금리도 같이 오르게 됩니다.
대출금리가 오르다 보니 그동안에 대출을 끼고 주식, 부동산 투자를 하던 사람들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이는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자연스레 투자시장에는 돈이 돌지 않으니 찬바람이 불게 되
어 경기가 위축이 됩니다. 이 시기엔 개인은 소비를 줄이게 되고 기업들은 투자를 줄이게 되는데 시장에 대한
수요가 없어지니 주식과 부동산 가격의 하락과 더불어 물가도 빠지게 됩니다. 투자시장의 위축으로 사람들은
높아진 예금금리에 눈을 돌리게 되고 투자시장보다 안전하고 더 나은 수익률을 주는 예, 적금으로 갈아타게
됩니다. 이처럼 돈의 흐름을 억제하여 물가의 안정을 도모하는 금리 인상은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었거나
인플레이션 억제 정책으로 자주 사용되어 왔습니다.
비둘기파 입니다.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대출금리도 낮아져 사람들이 대출을 받는 것이 부담스럽지 않게 됩니
다. 기업들도 자기자본 이상으로 새로운 투자를 진행할 수 있겠죠, 이렇게 풀린 돈은 자연스럽게 시
장에서 주식, 부동산과 같은 위험자산으로 이동하게 되어 시장을 끌어올리게 됩니다. 예금금리도 낮아졌
으니 은행에 저축하던 사람들도 전부 투자시장으로 나오게 되며 시장 상승에 한층 더 힘을 실어줍니다. 이렇
게 돈이 풀림으로써 시장경제가 활성 되고 자산과 소득이 높아지자 사람들의 소비심리도 상승 하게 되는 것이
고요, 이는 곧 경기 호황으로 이어지고 소비수요가 급상승함에 따라 물가도 상승하게 됩니다 (수요.공급의 법
칙). 물론 장기적인 금리 인하로 생길 수 있는 인플레이션 발생도 무시 못 할것이고 경기과열로 인한 주식, 부
동산의 거품(버블경제)을 항상 경계해야 됩니다.
20년 초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서 각국의 물류 이동이 막히게 되자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가 왔습
니다. 이때 세계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고 돈을 풀어 경제를 끌어올리려는 정책을 펼쳤고 우리나라도 금리 인
하정책을 펼쳤습니다. 사실상 제로금리 시대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코스피는 1400대까지 떨
어졌지만 시중에 돈이 풀리자 1년 3개월 만에 최고치인 3300까지도 찍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듯 금리의 방향성에 따라
앞으로의 경제전망을 짐작할 수 있으니 공부하실 때, 혹은 신문이나 뉴스를 봤을 때 "매파", "비둘기파" 관련
얘기가 나온다면 경제와 연관 지어 한번 생각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경제용어 공부 3탄을 마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최근 연이은 금리 인상으로 많이 힘드실 텐데
아무쪼록 앞으로는 좋은 일만 가득하시고 잘 풀리시길 바랍니다.
이상, 룽과함께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